[태양계:the solar system]5. 목성

2020. 12. 10. 20:26-우주이야기

'같은 하늘아래 태양이 두개 있을 수 없지'

 

그렇다. 우리 태양계에는 태양이 하나다. 하지만 오늘 얘기를 나눠볼 행성 '목성' 태양과 매우 닮아 있다.

 

오늘 이 짭퉁 태양에 대하여 알아본다.

 

 

목성[Jupiter]

 

이 목성은 우리 태양계의 행성들중 가장 큰 행성이다.

 

태양계에서는 다섯째 역활을 맡고 있고, 가스형 행성들중 대장 역활을 겸하고있다.

 

 

 

1. 목성의 또다른 태양계가 존재?

목성은 엄청 나게 많은 부하(?) 들을 거느리고 있다. 그렇다 크고 작은 위성들 무려 79개나 알려져 있고

 

아직 알려져 있지 않은 수많은 위성들이 존재 할수도 있다.

 

그 위성들 가운데  가장 대표적이고 커다란 4개의 천체가 있는데 이천체들을 통틀어 '갈릴레오 위성' 또는 '갈릴레오 4대위성'

이라고 부른다.

 

그렇다, 명칭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그 유명한 천문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처음 발견 했기 때문에 어쩔수없이(?) 붙여진 이름이다.

 

이 '갈릴레오 위성'의 이름은 목성과 더 친분이 두터운 순서대로 이오,유로파,가니메데,칼리스토 이다.

 

이중 '가니메데'는 태양계를 통틀어 가장 큰 위성이다. 우리 태양계의 귀여운 꼬맹이 수성보다 큰 반지름(약2,631.2Km)을 가지고있다.

 

 

 

 

 

2. 가스형 행성?

 

 

 

앞서 말했듯이 목성은 가스형 행성 (또는 대장의 이름을 따 목성형 행성) 이라고 부른다.

 

그 이유는 목성은 기체로 이루어진 행성으로 약 89%수소, 나머지중 약 10%는 헬륨이 채우고 있다.

 

그 외에 메테인(흔히들 우리세대에는 메탄으로 알려짐) 암모니아(그래 맞다 오줌냄새나는...) 중수소화합물 ,에테인

물 등등도 소량 이지만 목성을 구성하는데 한몫을 하고있다.

 

목성의 표면을 관찰한바에 의하면 밝은 줄무늬, 어두운 줄무늬, 크고 작은 반점 등이 관측되는데

 

밝은 줄무늬는 Zone 으로 , 어두운 줄무늬는 Belt 라고 부른다.

 

이 존과 벨트에서는 바람속도가 다르고 최근 탐사결과에서는 약 3000 KM 깊이까지 이어져 있으며

 

목성 중력장의 불균질성 의 이유로 그 깊이가 달라지는 것으로 밝혀 졌다.

 

이런 무늬는 목성 대기 연구를하며 목성을 구분 짓는데 많이 쓰인다.

 

목성의 남쪽 에는 크고 동그란 형태의 현상이 관측된다.

이것을 '대적점' 이라고 부르며 아주강한 폭풍우 지역으로 남반구 열대지역에서 나타난다.

 

또 다른 현상이 관측이 되는데 작은 타원형태의 대기현상이다. 이것을 '오발BA' 라고 하며 남쪽 온대 BELT 에서 나타난다.

 

 

 

 

3. 목성의 내부는?

 

목성의 내부 압력은 최고 1000 이상이고, 기압이 1인 지역에서는 온도가 165 K 이다.

 

그리고 목성의 내부에는 우리 태양계 행성들중 최고를 자랑하는 자석 즉 태양계 최고의 '자기장' 이 있다.

 

1기압 지역에서 자기장의 세기가 4~13G(가우스) 정도이며, 이는 지구보다 약 14배 정도가 강한것이다.

 

목성의 자기장은 내부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하는 금속성 '수소'가 소용돌이처럼 운동을 하며 일으켜서 맴돌이 전류

 

때문에 자기장이 생긴다고 알려져있다.

 

목성 중심에서 반경 75배 정도 까지 목성의 자기권이 태양을 향해 가는데 이 자기권의 면과 태양풍이 서로 맞닿아

 

상호 작용이 되어 '뱃머리충격파' 가 발생한다.

 

이러한 목성의 강력한 자기권은 극지방에서 오로라를 만들어 낸다.

 

목성의 자기장은 강력한 전파방출을 일으키고, 목성의 위성 이오의 화산활동으로 인해 분출된 이산화황 기체가

 

목성주변에 고리모양으로 Torus 를 만드는 역활도 겸하고 있다.

 

 

이렇듯 같은하늘에 두개의 태양은 없지만

 

그와 비슷한 녀석에대해 알아보았다. 실제로도 대단한 것이 이 목성의 질량이 태양계의 모든 행성의 2/3 를

 

차지하고 있다. 한마디로 '목성' 혼자서 태양계의 행성들을 캐리(?)하고 있는것이다.

 

아무리 가스행성이지만 이런 대장행성에 한번 꼭 가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면서 마치겠다.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