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12. 5. 01:18ㆍ-우주이야기
태양계의 행성들중 가장 태양과 가까이 있는 행성 수성에대해 알아보았다.
수성은 태양과 매우 가까이 있어 지구에서의 관측은 쉽지가 않은데,
지구에서 해가 진 직후 서쪽하늘이나 해가 뜨기 직전 동쪽하늘에서 수성을 만나 볼 수가 있다.
그 찰나의 순간 수성을 망원경으로 관찰하면 달과 굉장히 유사한 모습을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이 태양계의 맏이(?)와 같은 수성에대해 몇가지 조사를 해보았다.
1. 수성은 어떻게 탄생 되었는가?
수성은 달과굉장히 비슷하다는 것에서부터 시작해보겠다.
달과 비슷은 하지만 수성중심부 핵의 밀도는 달보다 훨씬 높다.(예를들면 아주 작은 짱똘같은....)
1987년에 시행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수성은 형성 초기에 커다란 미행성과 충돌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설에 의하면 충돌로 외부의 가벼운 물질들은 대부분 우주 공간으로 날아가고 중심부의 '철'과 '니켈'이 남게 된다.
이 결과 행성의 평균밀도가 크게 증가하면서 지금의 수성이 되었다는 것이다.
수성의 대기층에는
수소, 헬륨, 나트륨, 칼륨, 칼슘 등의 원자가 포함되어있는 얕은 대기층만이 존재하고 있다.
수성 표면의 평균온도는 약 179℃이지만, 온도변화는 약 영하183℃ ~ 영상427℃로 매우 심하다. 한마디로
해가질녘이면 다얼었다가. 동이트기 시작하면 모든것이 녹아내리는 지옥같은 환경이다.
그러나 이런 환경의 수성에 물과 얼음이 존재한다면 믿을 수 있겠는가?
하지만 아쉽게도 1992년 레이더 관측에 의해 수성 북극지방에 물과 얼음이 발견되었다.
이 물과 얼음은 혜성의 충돌이나 수성 내부에서 방출되어 생긴 물이 1년 동안 태양광이 닿지 않는 극지방의 크레이터 바닥에
남겨져 있던 것이라 추측된다.
2. 수성은 어떻게 태양 주위를 돌고 있는가?
1639년에 이탈리아의 지오반니가 망원경을 사용하여 수성을 관측하였는데,
수성도 금성이나 달과 마찬가지로 차고 기운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것으로 수성이 태양을 돌고 있다는 것이 확실해졌다.
수성은 우리 지구보다 겉모습은 날렵하지만 자전주기는 그렇지 못하다. 태양 주변을 2바퀴를 돌동안(공전)
자기 스스로는 3바퀴를 회전(자전)한다. 한마디로 3:2 비율의 주기로 태양계의 가족이 된 셈이다.
수성의 자전주기는 약 58.64일, 공전주기는 약 176일이다.
3. 수성의 내부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태양계의 행성들은 우리가 밟을수있는 땅이 있는 행성과, 가스로 이루어진 두가지 종류로 크게 나뉠 수가 있는데
수성은 우리가 발자국을 남길 수 있는 지각이 존재한다.
망원경으로 관찰해 보았을때 수성은 달과 매우 흡사하다고 했다. 그렇지만 실제 달의표면보다 여드름(구덩이)의 갯수가
훨씬 적었다.
이 말은 달과 수성이 비슷한 시기에 형성되었고, 충돌한 운석의 비율이 비슷하다고 가정하면,
수성의 표면은 재형성된 것으로추측할 수 있다.
흔히 이러한 재형성은 수성이 달보다 크고 태양에 더 가까우므로 최초형성 후 상대적으로 서서히 냉각되었다는 점에서근거를 찾는다.
서서히 냉각되면서 용암이 표면으로 올라와 오래된 구덩이 지역을 덮었다는 것이다. 또한, 수성은 태양의 조석력에 의해 적도 부분이
불룩하다는 특징도 있다.
수성 내부에는 철과 같은 원소로 이루어진 반경 1800km 의 핵이 존재한다. 이핵은 수성 전체 크기의 약 3/4를 차지하고
있다. 한마디로 속이 꽉찬 남자.....가아니고 행성이다.
수성 전체의 질량의 구성은 약70%가 금속, 약 30%가 이산화규소로 이루어져 있다.
수성의 부피는 우리가 살고있는 이 지구의 5.5% 수준 밖에 되질 않는다.
하지만 평균밀도는 5,430kg/m3나 되어 우리 지구보다 살짝 작은 수준이니 정말 꽉차있다.
수성의 이름은 머큐리(Mercury, 수성) 고대 그리스인들이 신화에 나오는 신의 이름을 따서 붙였다.
'태양계 중 가장 안쪽에 있는 행성으로 운행이 빠르기 때문에 발이 빠른 신(헤르메스)의 이름을 붙였다.'
헤르메스는 고대 로마에서 메르쿠리우스와 동일시되어 영어로 머큐리(Mercury, 수성)가 되었다.
여기까지 우리 태양계 가족(?)중 가장 처음이지만 땅땅한 행성 수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체적으로 백과사전에 나온내용중간중간 내 뇌에서나온 피셜을 섞어 놓았으나, 정보는 정확한 편이다.
이상.
'-우주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양계:the solar system]4 . 화성 (0) | 2020.12.09 |
---|---|
[태양계:the solar system]3. 금성 (0) | 2020.12.06 |
[태양계:the solar system]1. 태양계? (0) | 2020.12.02 |
테라포밍 (0) | 2020.11.29 |
우주여행 언제쯤 가능할까? (0) | 2020.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