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7)
-
[우주이야기]허블망원경
[우주이야기]허블망원경 슈메이커-레비혜성과 목성의 충돌 관측 블랙홀 발견 은하 충돌의 흔적 관측 이런 관측을 토대로 우주내 은하의 갯수 무려 1200억개 가량 추정 우주나이 약 130억년~150억년 이라는 것을 알아냄 그렇다 이런 엄청난 업적(?)을 남긴 것은 다름아닌 사람도 동물도 또 어떤 존재들도 아닌 지구의 인간이 우주를 관찰하기 위해 우주로 날려버린 망원경 '허블망원경'의 대표적 업적들이다 이 허블 망원경은 미국항공 우주국NASA와 유럽 우주국ESA 등이 주가 되어 개발 되었다. 우주의 팽창을 관측하고 증명한 미국 천문학자 허블의 이름을 따서 명명 되었고, 1990년 4월에 디스커버리호라는 미국산 우주비행선에 실린체 우주로 날아갔다. 지구 상공 610KM 궤도에 이르러 위의 업적들을 남기기까지 관..
2021.01.10 -
[우주미스터리] 말머리성운
[우주미스터리] 말머리성운 겨울철 대표적 별자리인 '오리온자리' 가 있다. 이 오리온 자리의 바로 아래 위치한 어둠의 기운(?)이 존재하고 있다. 마치 말의 머리를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말머리성운' 영어 이름으로는 'Horsehead nebula' 라고 불리운다. 이 말머리성운은 바너드33천체라고도 불리우는데 오리온자리의 세개의 가장밝은 별중 하나인 알니타크와 인접해 있다. 특히 말머리성운은 알니타크 (제타오리온) 의 바로 아래 있으며 오리온성운은 오리온이 찬 칼집의 정중앙에 위치해 있다. 세개의 큰별 삼태성과 오리온 성운을 감싸고있는 성운이 있는데 이 성운을 '바너드고리'라고 부른다. 하버드 천문대의 플레밍 박사에 의해 1888년 발견되었다. 8인치 짜리 바치 망원경을 이용해 오리온성운과 허리띠..
2021.01.09 -
[우주미스터리] 제2의 지구 타이탄
[우주미스터리] 제2의 지구 타이탄 요즘 몇가지 핫한 언론의 타이틀들을 살펴보면 지구가 환경오염으로 인한 이상기후와 점점 멸종되어가는 동식물들 그리고 그로인해 생존의 위협을 받고있는 인간들 대체적으로 이런 주제들을 쉽게 찾아볼수가 있다. 자연스레 과학자들과 세계지도자들은 이에대한 해법들을 찾게되고 저탄소운동 석탄이나 프레온가스들을 대체할 자원들을 찾아나서게되고 더욱 나아가서는 지구를 대체할 행성을 찾기에 다다른다. 영화 '마션'은 굉장히 관심있게 본 영화중 하나이다. 그이유는 간단하다 화성에서 다른동료들에게 버려진(?) 한명의 인간이 화성에서의 생존을 그린 영화인데 그 스토리가 매우 디테일하고 현실에서 그리 멀지않은 과학기술로 화성에서 살아남았기에 마음속에있는 흥분을 더욱 끌어올리는 역활을 하였다. 그래..
2021.01.04 -
[우주미스터리] 유성
[우주미스터리] 유성 가끔 밤하늘을 관찰하다보면 번쩍빛나면 긴 꼬리를 쭈욱 그리다 사라지는 유성을 본적이 있는가? 나는 유성을 지금까지 살면서 딱 한번 보았다. 물론 머릿속으로 상상했던 유성이랑은 굉장히 느낌이 달랐다. 한창 어린시절 만화나 영화를 보면 유성은 정말 긴꼬리를 지니며 마치 운명을 만난것처럼 그 찰나의 시간이 긴 시간처럼 느껴지는 그런 느낌을 상상하였는데 막상 마주한 유성은 정말 0.5초 내지 길어야 2초안에 하늘 한쪽편에 긴 꼬리를 살짝보여주고 사라진 그런 존재였었다. 그래서 오늘은 그 유성에 관해 얘기해 보도록 하겠다. 먼저 유성은 또다른 닉네임인 '별똥별' 이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별이 마치 응가를 했다는 그렇다 굳이 돌려 말하지 않겠다. 말그대로 별이 싼 똥이다. 이 유성은 혜성 또는 ..
2021.01.03 -
[우주미스터리]퀘이사
[우주미스터리]퀘이사 오늘은 블랙홀이 사자의 얼굴이라면 사자의 갈퀴 같은 존재인 블랙홀을 공전하는 우주에서 가장밝은 불빛 '퀘이사' 에대해 알아보겠다. 우주에는 수많은 은하들이 존재하고 그 중 거대한 은하들도 존재한다. 과학자들은 이 거대한 은하들 중심에는 아주아주 커다란 블랙홀인 '초거대블랙홀'이 존재한다고 추측하고 있다. 활동중인 은하의 핵인 블랙홀이 가스로 구성되어진 강착원반으로 둘러 싸여 있다. 퀘이사는 우리와 수십억 광년이나 떨어져 있는데도 별처럼 굉장히 밝은 빛을 띄는데 그 이유는 강착원반의 구성물질들이 회전을하며 블랙홀로 흡수되 중력포텐셜이 낮아져 전자기 복사현상으로 높은양의 빛 에너지가 방출되기 때문이다. 퀘이사는 준성 또는 준성전파원이라고 불렸는데, 항성은 아니지만 밝게 빛나며 가시광선 ..
2021.01.01 -
[우주미스터리] 화이트홀
[우주미스터리] 화이트홀 우리가 흔히 한번 빠져나오면 빠져나올 수 없다는 뜻을 빗대어 '블랙홀'이라는 단어를 자주 인용하곤 한다. 그러다 문득 들은 생각 블랙 앤 화이트 (black&white)라고 어두운 면이 있으면 밝은 면은 없는 것인가? 하는 의문점에서 출발하여 화이트홀 이라는 존재에 대해 오늘은 간단히 알아보고자 한다. 블랙홀이 빨아들이는 역활을 한다면, 그 통로 그리고 배출(?)되는 곳은 어디인가? 블랙홀이 모든것 심지어 빛까지도 삼킨다는 것은 웬만한 우주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모두가 다 알고 있는 사실일 것이다. 그 삼켜진 것들이 그저 삼켜진 것으로 끝이 나는것이 아닌, 웜홀이라는 곳을 통과해 출구 이른바 '화이트홀'이라는 곳으로 빠져나온다는 것이다. 솔직히 아직까지는 이 존재가 아직 확실..
2020.12.30